본문 바로가기
경험 일지

Microsoft 365 어플리케이션 종류와 MS-900 자격증에 필요한 정보

by Marco Backman 2025. 8. 10.

 

이번에 MS-900 자격증 취득에 압서 공부를 하려고 작성해 봅니다.

 

Could 어플리케이션 제공을 통한 이종 기기간 Compatability 제공, 장소 제약 X

 

통합 구독 방식 전환으로 한번만 결제하면 모든 서비스 이용 가능


Access

로컬 컴퓨터에 설치되어야 라이선스를 구매한 유저가 다양한 MS365의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Word

모두가 알다 싶이 문서 도구 그리고 추가 인공지능 기능인 Microsoft Editor와 Researcher 기능도 탑.

 

Excel

복잡한 행열로 구성된 테이블 데이터 양식을 편하게 읽고 편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툴.

 

PowerPoint

발표 도구, 인공지능 기능의 탑재로 더 빠른 생산성을 도출 하고 더나은 시각적 요소를 추가할 수 있다.

 

OneNote

노트 정리 툴, tab과 subsection 기능이 있으며 하나의 공간에서 모든 노트기능을 다룰 수 있다.

 

Outlook

이메일, 캘린더, 업무, 연락처의 기능들을 통합관리하고 알림을 받는 도구.

 

Teams

미팅, 영상 통화, 일반 통화, 협업 용도.

  Teams 미팅은 외부에 공개 가능하며 최대 만명의 동시 접속을 허용한다.
 
  채널 종류

  • 일반(Standard Channels) - 모든 팀 멤버에 공개
  • 개인(Private Channels) - 선택된 팀 멤버만 입장
  • 공유(Shared Channels) - 내부와 외부 멤버에게 초대하면 입장 가능

  미팅 유형

  • Live event : 최대 20000명 참가자 까지 통제가능한 Q&A 세션 환경을 제공
  • Meeting: 최대 20000명 참가 가능하고 시청만 가능하다 그러나 Live event처럼 Q&A환경을 제공 하지 않는다. 화면 공유 시 1000명까지 가능하다.
  • Webinar: 최대 1000명 까지 지원하며 서로 완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 Microsoft Stream: 비디오 스트림 공유를 하거나 업로드에 사용된다.

Publusher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사용 가능하게 만들어야 하는데 이때 publisher가 설치되어 있어야지 조직에서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디바이스에 설치 할 수 있게 된다.

 

Share Point 

파일 자체에 대한 공유 설정과 공유 범위를 설정 sites로 범위를 설정 해 준다.

 

SharePoint team sites: 안전한 파일 공유 제공, 팀멤버사이(팀 내부용) 간에 내용 공유, Microsoft Teams와 Power Automate와 통합 연계 가능.

SharePoint Communication sites: 다른 팀과의 파일을 공유할 때 사용한다 또한 제작자 가능한 인원은 team site보다 더 제한적이다.

 

[Share Point와 OneDrive 차이점]

OneDrive - Syncing이 완료된 파일에 대한 오프라인 접근을 허용하는 파일 공유 협업 툴

Share point - 파일 자체에 대한 공유 설정과 공유 범위를 설정하는 기능이며 해당 기능은 오프라인에서 사용이 불가하다.

 

Microsoft Project

 

Jira와 Github project와 같이 프로젝트 관리 도구이며 간트차트처럼 시간대 별 복작한 업무의 처리 현황을 트래킹하고 확인 할 수 있다.

 

PM과 팀원이 같이 이용하며 Dynamic Scheduling, subtask, dependent task를 지정하거나 수정 또는 의견을 제시하며 프로젝트 스케줄을 공동으로 작업 할 수 있다. 

 

주요기능

  • 프로잭트를 빠르게 시작하고 업무를 지정하고 업무를 배정하여 스케줄을 효율적으로 짤 수 있다.
  • 스마트 스케줄 엔진으로 자동으로 시간대를 업데이트하고 스케줄을 짜는 공수와 노력이 줄어든다.
  • Easy-to-use 시각화, 칸반 보드, 간트 차트 지원
  • Teams와 연동하여 원활한 협업이 가능
  • Power BI에서 대시보드 추가하여 프로젝트의 개념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 Power Platform 기반으로 프로젝트가 만들어 지기 때문에 다른 플랫폼 어플리케이션과 확장 연동이 가능하다.

Microsoft Planner

 

업무 관리를 주 목적으로 하는 툴이며 - 업무에 대한 상태 변경, 세부 목표 지정, 내용 지정 및 계획 설정등의 기능이 가능하다.

 

주요 기능

  • 플랜을 제작하여 팀원에게 분배 및 지정 - 프로젝트의 미시적인 활동을 추적할 수 있다.
  • 칸반보드를 통한 태스크 카드 상태확인 및 상태변경 bucket은 여러개의 테스크를 가지고 있으며 bucket은 각자 테스크의 상태를 타나낸다.
  • 데드라인에 따른 알람설정, 팀원의 업무 처리 현황 파악, 상태 보고
  • Teams와 연동이 가능하여 @mentions 키워드를 통해 Word, Excel, PowerPoint 에서도 업무를 지정할 수 있다.
  • 각자 업무(Task)는 Outlook 캘린더에 표시가 가능하다

Microsoft Bookings

 

웹기반 약속 및 스케줄 관리 프로그램 - Planner와 Calander의 차이점은 Planner는 프로젝트 업무에 집징되어 있고 Calender는 일정에 대한 세부 정보 보기 및 추가 기능이 없기에 Bookins만의 주요기능을 쓸 때 사용된다.

 

주요 기능

  • 약속 종료와 상세, 스케줄, 시간, 동반되는 서비스, 가격, 양속 방법 및 장소등 구체적인 설정이 가능하다.
  • Booking page를 제작하여 Microsoft을 사용하지 않는 고객이 Booking 페이지를 통해 스케줄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 링크로 Booking page를 공유하거나 SNS에 연동하여 스케줄 관리가 가능하다.
  • 이메일과 SMS 통합으로 자동화가 가능하다.

Microsoft Todo

  • 개인 일정관리 또는 일일 일정 관리 플래너
  • Office 365의 Exchange online과 Outlook 그리고 Planner를 기반하여 제작된 기능
  • Outlook 이메일에서 task 목차를 자동 생성이 가능
  • 알림과 반복 작업 등록 가능

 

[Microsoft Planner, Projects 와 Bookings 차이점]

 

Planner(& To do): Outlook과 통합, 그러나 이메일과 SMS 자동화를 지원 하지 않음

Bookings: Outlook과 통합, 다가오는 이벤트에 대해 email과 SMS 알림 설정 자동화. 고객이 미팅을 잡을 때 관련 직원이 시간 조율을 할 수 있도록 Buffer 시간 지원.

Projects: 이메일, SMS 자동화 지원 안함. 그리고 버퍼 시간 지원 안함, 자동으로 고객에 대한 미팅 설정 안함.

 

Intune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환경에서 Unified endpoint management(UEM)에 특화된 서비스이다.

여기서 endpoint는 디바이스를 지칭하는데 노트북, PC, 태블릿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것을 지칭한다.

 

Zero trust security를 지향하며 항상 검증을 수행한다.

 

Intune의 주요 기능

1. Mobile Device Management (MDM)

  • 기기등록
  • 프로파일 별 와이파이, VPN, 이메일 설정
  • 보안 정책 배포 및 적용
  • 기기 정보 삭제 및 폐기 (분실시)

2. Mobile Application Management (MAM)

  • 데이터 유출 방지, 복사 금지
  • 비밀번호 또는 바이오메트릭 검사
  • 기관의 데이터 부분적 삭제

3. Compliance and Conditional Access (규약와 조건적 제한)

  • Compliance Policy (규약 정책): OS 버전, 기기의 암호화 기능, 보안 등급 정의
  • Microsoft Entra ID에 따른 권한 색인 후, 접근 통제

Viva Engage

Private network와 Public Network 설정 가능하며 Teams와 통합이 불가능, Power Automate 연계 불가능

 

Viva Connections: 리소스 접근에 대한 대시보드 표시, 개인 업무 표시, 대화 이력, 뉴스 업데이트 등을 제공

Viva Topics: 특정 리소스나 문서에 대한 접근 제한 기능 제공

Viva Engage: 조직 내 SNS 내용을 내부 또는 외부에 공유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오프라인 모드는 불가능.

Viva Insights: 각 직원의 복지와 생산성을 지원하는 기능이다. 시간효율 관리와, 동료와의 협업 권장 그리고 보상, 휴식시간 제공등 과 같은 부가적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Perosnal Insight 가 있고 Manager Insight 가 있는데 Personal은 개인에 집중되어있고 Manager은 팀 내부적으로 관리하여 상대적 평가를 내리는 역할을 한다.

 

Microsoft Exchange Online

Microsoft Exchange Server의 클라우드화로 기능이 확장된 메시지 호스팅 솔루션

  • 사용자의 이메일, 캘린더, 연락처, 작업의 접근을 PC, 웹, 모바일 기기로부터 하용
  • Outlook과의 차이점은 Exchange는 메일 서버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리소스 관리 툴인 반면 Outlook은 클라이언트 단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 따라서 Outlook을 사용하려면 Exchange를 세팅해야 사용자가 Outlook을 통해 기능들을 사용 할 수 있다(만약 다른 메일 서버가 없다면).

Microsoft Forms

Google Form과 유사하다, 투표, 설문 조사, 퀴즈등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

Microsoft List

설정이 가능한 리스트를 통해 작업정보를 추적하고 업무효율을 높일 수 있는 도구이다

 

  • 프로젝트 관리
  • 이벤트 관리
  • 문제 트래킹
  • 재고 관리

등과 같은 기능들을 팀과 공유하먀 Teams, SharePoint, Outlook과 연계를 하여 협업을 통해 rule, flows의 기준을 설정해 자동화를 실현하고 Views와 Formats을 통해 성과를 시각화한다


Power BI(Business Inteligence)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변환하여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내리는 툴

 

사용사례

  • 데이터 소스 (Excel, DB, 클라우드 서비스)
  • 매출, 재고, 고객 데이터 등을 실시간 대화형 대시보드 및 보고서로 시각화
  • 그래프와 차트를 통해 비즈니스 동향과 문제점을 빠르게 파악

Power Apps

코딩 없이 업무에 필요한 앱을 빠르게 만들 수 있게 해준다.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모바일 및 웹에서 사용할 수 있는 맞춤형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 툴

 

사용 사례

  • 캔버스 앱(Canvas App): 빈 화면에서 시작하여 UI/UX 자유롭게 디자
  • 모델 기반 앱 (Model-driven App)

Power Automate

서로 다른 앱과 서비스 간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작업을 연결하여 자동화 된 워크 플로우를 만드는 서비스이다.

트리고 액션 개념의 반복 업무 자동화 도구

 

사용 사례

  • 특정인에게 이메일이 오면 첨부파일을 OneDrive에 자동 저장하고 Teams로 알림 받기
  • SharePoint 목록에 새 항목이 추가되면 담당자에게 승인 요청 이메일 보내기
  • 매일 아침 특정 웹사이트의 날시 정보를 가져와 메일로 요약 받기

Power Virtual Agents

코딩이나 AI 전문 지식 없이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질문에 답변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지능형 챗봇 서비스 제작.

 

사용 사례

  • 자주 묻는 질문(FAQ)에 자동으로 답변하는 사내 HR 챗봇.
  • 제품 정보나 배송 상태를 알려주는 고객 서비스 챗봇
  • Teams나 웹사이트에 내장하여 24시간 응대 지원

 

Power Pages

외부 사용자가 접속하여 데이터를 보고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보안성이 뛰어난 비즈니스 웹사이트를 low code로 작성

사용 사례

  • 고객이 서비스 요청을 제출하고 진행 상황을 추적할 수 있는 포털 사이트
  • 파트너사가 등록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공급업체 포털

 

Power Platform

위 서비스들을 하나로 묶어주고 강력하게 만들어 주는 공통 기술. 비즈니스 앱을 위한 통합 플랫폼 도구이다

  • 코딩 지식이 없는 사용자를 위해 비즈니스에 필요한 앱을 만들고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며, 데이터를 분석하고, 챗봇을 제작할 수도 있도록 지원하는 Low Code/No Code 플랫폼

 

  • Microsoft Dataverse
    • Power Platform을 위한 지능적이고 안전한 데이터베이스입니다. 단순한 데이터 저장소를 넘어 비즈니스 규칙, 보안 역할 등 비즈니스 로직까지 포함합니다.
  •  Connectors
    • Power Platform이 다른 서비스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해 주는 다리 역할을 한다.
    • 표준 커넥터(M365 구독에 포함), 프리미엄 커넥터(라이선스 필요)
  • AI Builder
    • Power Apps와 Power Automate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

 


Microsoft Viva Engage

조직 구성원간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결합에 (Community, Communication, Social Engagement) 집중 - 전 직원, 내부 소통, 팀 리더용.

 

Microsoft Viva Topics (구)

조직에 관한 지식과 전문성에 대한 내용 공유 - 전직원 용, 특정 전문가용

 

Microsoft Viva Insights

데이터 기반에 의거한 복지와 생산성 도움 - 전 직원용, 비즈니스 리더용

 

Microsoft Viva Connections (Connect & Inform)

회사 뉴스, 자료 조회, 개인 대시보드와 테스크 그리고 도구(Teams 통합) - 디지털 캠퍼스 - 전 직원용, 인사, IT

 

Microsoft Viva Learning (Learn & Develop)

학습 관리 시스템, 제3자 서비스 제공업체 연동 (LinkedIn, Coursera)

 


 

Current Channel

Current Channel makes security, quality, and feature updates available as soon as they are released.

 

기억해야 할 부분 - 보안, 품질, 업데이트 최대한 빨리, 기능 업데이트 바로적용

 

Monthly Enterprise Channel

Monthly Enterprise Channel makes security and quality updates available as soon as they are released

 

기억해야 할 부분 - 보안, 품질 업데이트 최대한 빨리, 기능 업데이트는 한달에 한번 (4주째 목요일)

 

Semi-Annual Enterprise Channel (Preview)

Semi-Annual Enterprise Channel (Preview), which makes security and quality updates available in March and September

기억해야 할 부분 - 보안, 품질 업데이트 최대한 빨리, 기능 업데이트는 일년에 두번 (3월, 9월)

 

Semi-Annual Enterprise Channel

makes security and quality updates available as soon as they are released. updates are available in July and January

기억해야 할 부분 - 보안, 품질 업데이트 최대한 빨리, 기능 업데이트는 일년에 두번 (6월, 다음 해 1월)

 

 


구독 유형

 

Add-on USLs : on-premise의 라이선스를 가지고 있지만 기존기능을 버리지 않고 추가되는 기능만을 클라우드에서 구매를 할 때

SA USLs: on-premise의 라이선스에서 클라우드의 기능으로 이전할 때  

Full USLs: 초기 구매자용 - on premise 용과, cloud 용이 있다

Step Up USLs: 기존 MS365에서 서비스 업그레이드를 할 때

 


Microsoft 배포 방법

 

  • Configuration Manager를 사용하여 로컬 소스에서 배포: Configuration Manager로 배포를 관리하고, 네트워크의 배포 지점에서 Office를 다운로드하여 배포합니다.
  • Office 배포 도구(ODT)를 사용하여 클라우드에서 배포: ODT로 배포를 관리하고, Office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에서 직접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Office를 설치합니다. 이 배포 도구는 명령줄에서 실행되며, 구성 파일을 사용하여 Office 배포 시 적용할 설정을 결정합니다. Microsoft는 Office 사용자 지정 도구를 사용하여 구성 파일을 만들 것을 권장합니다.
  • Office 배포 도구(ODT)를 사용하여 로컬 소스에서 배포: ODT로 배포를 관리하고, 네트워크의 로컬 소스에서 Office를 다운로드하여 배포합니다.
  • 클라우드에서 직접 설치: Office 포털에서 배포를 관리하고, 사용자가 포털에서 직접 자신의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 Office를 설치하도록 합니다.

 

업데이트 채널 

  • 기능 업데이트
    • Current Channel: 기능이 준비가 되면 바로 적용, 스케줄 적용 안됨(즉각이기때문)
    • Monthly Enterprise Channel: 달에 기능 업데이트 한번 적용(보통 두번 째 주 화요일)
    • Semi-Annual Enterprise Channel: 6개월에 한번 (보통 1월과 6월에 적용 그리고 두번 째 주 화요일)

 

'경험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900 자격증 시험 후기  (5) 2025.08.17
면접 내용 복기  (3) 2025.08.11
똑똑하게 코드 작성 하기  (0) 2024.02.20
Kubernetes의 Liveness 그리고 Readiness probes  (0) 2024.01.22
Use case 이해의 중요성  (0) 2024.01.15